Project 4 2[sai:] & Maeng Museum




 In 2012, during my one year and nine months stay in Berlin, I performed Korean traditional shamanic Janggu music, collaborating with Berlin-based improvisational artists to give performances in cafes, galleries, theaters, and on the streets.

 While residing specifically in the Neukölln district, I engaged in action painting. While listening to the recorded spontaneous music sessions I participated in, I spread paper—one meter wide and two meters high—on the floor, splashed it with acrylic paint, and danced over it. This process led to the creation of over 100 paintings during a three-month period, from July to September 2012.

 These paintings are the result of my personal healing work, titled Project 4 2 [sai:] 2012.
‘4 2 [sai:]’ signifies the Korean word sai, which translates to 'space, distance, in-between, or relationship.' This project was an attempt to express the various tensions, conflicts, harmony, and communication arising within the relationships surrounding me, using art as the medium.

 Thanks to the help of Klaus, a double bass player and architectural historian, these 100 paintings were fully preserved even after I left Berlin.

 And thanks to another musician friend, Gerhard, these paintings were brought back to life. Since June 2024, he has named his studio—located in Berlin's creative Kreuzberg district—the 'Maeng Museum' and has been consistently exhibiting my paintings. Currently, the space continuously hosts art exhibitions alongside improvised music performances.

 The 'Maeng Museum' bridges the decade-long sai (in-betweenness) of time and the 8,000-kilometer sai of distance, connecting Seoul and Berlin.


 2012년, 베를린에서 1년 9개월간 머무르며 저는 전통 한국 무속 장구로 음악을 연주하고, 베를린의 즉흥 예술가들과 협업하여 카페, 갤러리, 극장, 그리고 거리에서 공연을 펼쳤습니다.

 특히, 노이쾰른 지역에 머무는 동안, 제가 참여한 즉흥음악 세션 연주 녹음을 들으면서 너비 1미터, 높이 2미터의 종이를 바닥에 펼쳐 놓고 아크릴 물감을 뿌린 뒤, 그 위에서 춤을 추는 액션 페인팅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그렇게 2012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세 달간 100점이 넘는 그림이 탄생했습니다.

 이 그림들은 저의 개인적인 치유 작업인 프로젝트 4 2 [sai:] 2012의 결과물입니다.
‘4 2 [sai:]’는 한국어 단어 ‘사이’를 뜻하며, 이는 ‘공간, 거리, 중간, 관계’를 의미합니다. 이 작업은 제 주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긴장, 갈등, 조화, 소통을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표현하고자 한 시도였습니다.

프로젝트 4 2 [sai:] 2012

 콘트라베이스 연주자이자 건축 역사학자인 클라우스의 도움 덕분에, 제가 베를린을 떠난 이후에도 이 100점의 그림들은 온전히 보존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음악가 친구인 게르하르트 덕분에 이 그림들은 다시 살아나게 되었습니다. 그는 2024년 6월부터 창의적인 예술가들이 모여 있는 베를린 크로이츠베르크에 위치한 자신의 스튜디오에 ‘맹 박물관’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저의 그림을 꾸준히 전시하고 있습니다. 현재 그 공간에서는 예술 전시와 함께 즉흥음악 공연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맹 박물관 

 ‘맹 박물관’은 10년이 넘는 시간의 ‘사이’를 잇고, 8,000킬로미터가 넘는 거리의 ‘사이’ 속에서 서울과 베를린을 이어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