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4 2[sai:] 2012
0. Maeng & Project 4 2[sai:]
Maeng(Jeongeun Maeng) learned classical piano from a young age. She completed the piano major cours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Institute of Western Music while studying linguistics at SNU. After graduation, she went on to study abroad in Germany to receive a degree in piano. In Germany, she took piano lessons in various locations, including Freiburg, Cologne, and Düsseldorf, yet she returned to Korea because she did not know how she could integrate her Korean identity (which was important to her) into her European academic music studies. Back in Korea, She became interested in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soon transferred to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fterwards, she learned shamanic Janggu from East Coast under the late Kim Yong-taek,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82-1, and she completed the music therapist course at the Korea Art Therapy Association. She chose to go to Berlin for her music therapy studies in 2012. From 2012 to 2013, she interacted with artists in Berlin, improvising music and immersing herself in the practice of action painting performance art, which could be seen as a process of art therapy for herself. Practicing music and dance as part of psychological holistic therapy, she realized that not only stabilizing the psychology but also activating the human body and its bioenergy could be the ultimate goal of treatment, so she returned to Korea where she was able to practice traditional Qigong and martial arts. In Korea, she learned 'HANMOM TRAINING ', a pain relief exercise based on Korean martial arts and Qigong, from Master Wonho Lee, who founded the training and is currently her husband. At present, living in Korea, she is producing pain relief music, playing the piano and janggu with a horse-riding standing posture like a squat, and working as a video creator, a qigong trainer, and an English teacher.
Improvised music and body-related expressions as its psychological representation are always the main focus of her artistic activity.
Even before coming to Berlin, Maeng was already quite familiar with the art of improvisation. She was inspired by improvisational musicians in Seoul, including Park Chang Soo, a first-generation improviser in Korean avant-garde art and a pioneer in popularizing small-scale concert cultures, and Alfred Harth, a German artist and improviser, and by the highly improvisatory shamanic music used in various shamanic rituals in the East Coast region. She started her lifelong project Project 4 2 [sai:] in Seoul in 2011. She explicitly points out that this is not only an aesthetic project, but also a quasi-therapeutic project and a social project that aims to connect people. ‘4 2 [sai:]’ represents the Korean word ‘sai’, which means ‘interval, distance, middle, and relationship.’ Project 4 2 [sai:] is a concept that appears in various cognitive,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relationships surrounding the self,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body and mind, between people, between cultures, between genres, and between humans and nature. Artistically exploring aspects of tension, conflict, harmony, and communication, it contains the process of growth and healing of both parties involved in the relations. This project was conducted in 2012 and 2013 under the respective titles Project 4 2 [sai:] 2012 and Project 4 2 [sai:] 2013. For each work, the objects, materials, and form of the result related to the ‘4 2 [sai:]’ are specifically set in advance. The idea of ‘4 2 [sai:] 2012’ is to create 100 photos of the resulted ‘action painting’ through improvisation by spraying acrylic paint of several specific colors selected on the spot onto the floor, and moving and dancing on it. The project was ultimately completed with a live action painting performance and improvisation alongside four musicians—those she had the most sessions with among all the artists who participated in the improvisational music recording and were thus most engaged in the production phase.
The works from Project 4 2[sai:] 2012 are part of the collection at Maeng Museum in Kreuzberg, Berlin, and are on permanent display.
맹 (본명 맹정은)은 어린 나이부터 클래식 피아노를 배웠다. 그녀는 서울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는 동시에 서양음악연구소에서 피아노 전공 과정을 수료했다. 졸업 후에는 피아노 학위를 받기 위해 독일로 떠나 프라이부르크, 쾰른, 뒤셀도르프 등 여러 곳에서 레슨을 받으며 피아노를 공부하다가 유럽의 아카데믹한 음악 교육에 자신의 정체성인 한국적인 요소를 어떻게 통합해야 할지 알 수 없어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으로 돌아온 후 그녀는 전통 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곧바로 서울대학교 국악과로 편입했다. 이후 국가무형문화재 제82-1호였던 고(故) 김용택 명인에게 동해안 별신굿의 장구를 사사했으며, 한국예술치료협회에서 음악 치료사 과정을 수료했다.
그녀는 2012년에 음악 치료 공부를 위해 베를린으로 떠났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베를린에서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즉흥음악을 연주하고 액션 페인팅 퍼포먼스에 몰입했는데, 이는 스스로에게 일종의 예술 치료 과정이었다. 심리 통합 치료(psychological holistic therapy)의 일환으로 음악과 춤을 수행하던 중,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심리적 안정뿐만 아니라 인체의 활성화와 생체 에너지를 깨우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 그녀는 전통 기공과 무술을 수련할 수 있는 한국으로 다시 돌아왔다.
한국에서는 한국 무술과 기공을 기반으로 한 통증 완화 수련법인 ‘한몸운동(HANMOM TRAINING)’을 이 운동의 창시자이자 현재 그녀의 남편인 이원호 원장에게 배웠다. 현재 한국에 거주하면서 영상 창작자, 영어 교사, 기공 트레이너로 활동하고 있으며, 스쿼트 자세와 유사한 기마 자세로 서서 피아노와 장구를 연주한다.
즉흥 음악과 그 심리적 표현으로서의 신체 관련 표현은 항상 그녀의 예술 활동의 주요 초점이다.
맹은 베를린에 오기 전부터 즉흥 예술에 이미 상당히 익숙했다. 한국 아방가르드 예술의 1세대 즉흥 연주자이자 소규모 콘서트 문화를 대중화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박창수와 독일 예술가이자 즉흥 연주자인 알프레드 하르트(Alfred Harth)를 비롯한 서울의 즉흥 음악가들, 그리고 동해안 지역의 다양한 무속 의례에서 사용되는 고도로 즉흥적인 무속 음악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녀는 2011년 서울에서 평생 프로젝트인 ‘Project 4 2[sai:]'를 시작했다. 이는 단순히 미학적인 프로젝트일 뿐만 아니라 준(準)치료적 프로젝트이자 사람들을 연결하는 사회적 프로젝트임을 명확히 지적한다. '4 2 [sai:]'는 '간격, 거리, 중간, 관계'라는 뜻의 한국어 '사이'를 나타낸다.
'Project 4 2 [sai:]'는 '몸과 마음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 '문화와 문화 사이', '장르와 장르 사이', '인간과 자연 사이’와 같이 자아를 둘러싼 다양한 인지적, 사회적, 문화적, 생태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개념이다. 긴장, 갈등, 조화, 소통의 측면을 예술적으로 탐색하며, 관계에 참여하는 양 당사자의 성장과 치유 과정을 담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12년과 2013년에 각각 ‘Project 4 2 [sai:] 2012', ‘Project 4 2 [sai:] 2013’ 이라는 타이틀로 진행되었고, 각 작품마다 '사이'와 관련된 대상, 재료, 결과물의 형태를 사전에 구체적으로 설정했다.
‘Project 4 2 [sai:] 2012'의 아이디어는 창작 순간에 즉석에서 선택된 몇 가지 특정 색상의 아크릴 물감을 바닥에 분사하고, 그 위에서 움직이고 춤추는 즉흥 연주를 통해 생성된 '액션 페인팅' 결과물 사진 100장을 만드는 것이었다. 이 작품은 제작 과정에서 사용된 즉흥음악 음원에 참여했던 음악가들 중 그녀가 가장 많은 세션을 함께 한 연주자 4명과 즉흥연주를 하면서 액션페인팅을 라이브로 하는 것으로 최종 마무리를 지었다.